
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객체의 생성과 의존관계를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관리 한다는 점이다.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보통 인스턴스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, 생성된 인스턴스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. 다시말해, 컨테이너란 당신이 작성한 코드의 처리과정을 위임받은 독립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면 된다. 컨테이너는 적절한 설정만 되어있다면 누구의 도움없이도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스스로 참조한 뒤 알아서 객체의 생성과 소멸을 컨트롤해준다. 쉽게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는 컨테이너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프로그래머의 손을 떠나 컨테이너의 영역으로 떠나버리게 된다. (정확히 말하자면 컨테이너가 맘대로 객체를 생성하는 게 아니라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호출에 의해 컨테이너가 동..
Dev.BackEnd/Spring
2019. 4. 10. 14:12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IOC
- react
- 컨테이너
- 중괄호
- import
- 렉시컬스코프
- API
- REST
- Github
- 함수
- SpringBoot
- fuction
- IntelliJ
- STS
- 동적스코프
- SWAGGER
- Java
- 정적스코프
- IDE
- homebrew
- DI
- Gradle
- {}
- Eclipse
- error
- restful
- MySQL
- mysql.server
- Spring
- JavaScrip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글 보관함